모더나, 화이자보다 부작용 5배 높아
모더나 측이 자사의 백신을 접종한 30세 미만 남성에게 심근염 발생 위험이 다른 백신보다 5배 높다는 걸 인정했다. 이러한 내용은 폴 버튼 모더나 최고 의학책임자(CMO)가 11일(현지시각) 기자들과의 통화에서 밝혔다고 미국 CNBC가 보도했다. 제조사 측이 이런 사실을 인정한 건 처음이다.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14
돌파 감염 사례는 적어 여전히 효과적?
폴 버튼 CMO가 이날 인용한 프랑스 통계에 따르면 12~29세 남성 중 백신을 맞고 심근염이 발생한 사람은 10만 명 당 화이자 백신은 2.7건, 모더나 백신은 13.3건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버튼 CMO는 미 CDC통계를 인용해 백신 접종 완료 후 모더나 백신의 돌파 감염 사례가 화이자, 얀센보다 더 적기 때문에 여전히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초 접종 때보다 용량을 절반으로 줄인 추가접종(부스터샷) 접종자 가운데 심근염이 발생한 사례는 아직 한건도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30세 미만 남성에겐 접종 중단
미국에서 화이자 백신은 12세 이상 청소년부터 접종이 가능하지만, 모더나는 18세부터 가능하다. 10대 청소년들에게 모더나 백신의 부작용이 일어날지에 대한 검토가 더 필요하다며, 미국 식품의약국이 긴급 승인을 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은 지난 7월부터 모더나 백신의 청소년 접종 승인을 했지만, 심근염 위험을 이유로 핀란드,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는 30세 이하 남성에게는 접종이 중단된 상태이다.
모더나 백신 심근염 위험성 높은 이유
의학계에 따르면 모더나 백신이 다른 백신보다 심근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이유는 테스토스테론의 호르몬이 원인이라고 예측한다. 또한 모더나 백신의 mRNA 양이 화이자보다 더 많은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한다.
모더나, 고가정책에 특허권 독점 논란까지
모더나는 그동안 고가정책과 특허권 독점 논란으로 미국 정부와 갈등을 빚고 있었다.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 특허를 신청하면서 개발에 참여한 미국 국립보건원 소속 과학자들 빼고 자사 직원들만 이름을 올려 미국 정부와 마찰이 있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모더나가 자사 직원 이름으로만 특허를 받을 경우, 제조법 공개 등에 더 인색해질 거라는 우려도 있었다.
모더나 가격 크게 낮춰
이런 가운데 모더나가 아프리카 연합 AU에 백신을 도스당 7달러에 팔기로 했다고 밝혔다. 모더나 경영진이 과거 제시했던 25~37달러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는 AU에 10달러 안팎에 수출되는 얀센이나 화이자보다 더 싼 가격이다. 모더나는 다음 달 중 천 500만 도스를 먼저 아프리카로 보낼 예정이다.
'컴맹의 구글애드센스 분투기 > 1일1포스팅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훈웃음으로 1등 먹었다-유재석 놀면뭐하니 (0) | 2021.11.14 |
---|---|
빼빼로데이에 결혼 패리스 힐튼 (0) | 2021.11.13 |
나만 몰랐던 휘슬, 주·정차 과태료 피하는 법 (0) | 2021.11.11 |
○○○으로 요소수를 만든다고? (0) | 2021.11.10 |
이런 뉴스는 자주 나와야 (0) | 2021.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