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부터 추가접종(부스터샷) 사전예약과 잔여백신을 활용한 조기 접종에 참여할 수 있다. 백신 접종 완료 후에도 돌파 감염이 증가하면서 방역당국이 부스터샷 간격을 기존 6개월에서 60세 이상은 4개월, 50세 이상은 5개월로 단축했다.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14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11~12월 추가접종 대상은 약 1378만 4000명이다. 이 가운데 간격 단축 조정으로 추가된 인원은 약 819만 2000명이다.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 60세 이상 고령층
- 요양병원·시설, 장애인·노인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 18~59세 중 기저질환자
- 병원급·의원급 등 의료기관 종사자는 종전 6개월에서 4개월(120일)로 간격이 좁혀졌다.
이는 이스라엘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했다.
이스라엘의 연구에 따르면,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의 경우 화이자 백신 2회 접종 후 5개월 이상 지나 추가접종을 하면 감염 위험이 10분의 1, 중증 확률이 20분의 1로 감소한다는 것이다.
50대와 상반기 접종을 시작했던 군인·경찰·보건의료인·특수 보육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등 우선접종 직업군은 접종 간격이 5개월(150일)로 한 달 단축됐다. 이것 또한 화이자 백신 기본접종 완료자의 확진율이 146일이 지났을 때 18~39세는 1.67배, 40~59세는 2.22배로 높아졌다는 이스라엘의 연구 결과를 보고 결정했다.
요양병원·시설 등 자체 접종이 진행되는 대상자는 17일부터 단축된 간격에 따라 해당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추가 접종한다.
22일부터는 819만 2000명도 네이버·카카오 등 사회관계망 서비스나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한 잔여백신 예약으로 추가접종을 할 수 있다.
추가접종이 가능한 날 2주 전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사전예약을 할 수 있다. 다만 백신 배송 일정 등을 고려해 예약 가능한 가장 빠른 날짜는 12월 6일이다.
추가접종 간격 단축에 따른 안전성 우려와 관련해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기본접종 완료 후 4주(미국·독일 등)째부터 3차 접종을 받은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없었다"며 "추가접종 간격의 단축에 따른 안전성에 대한 우려에 비해 돌파 감염을 줄이는 예방 효과의 이득이 크다"라고 평가했다.
오미크론 맞설 몰루피라비르 먹는 치료제 긴급 사용 권고
댓글